8월 31일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 협약’ 체결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 조감도(사진=구리시)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 조감도(사진=구리시)

그동안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에 쓰레기를 직매립하던 수도권 다수 도시들이 2025년 8월부터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게 돼 자구책 마련에 전력을 쏟고 있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더해 2026년부터는 쓰레기를 소각한 후 소각재만 매립하도록 법이 개정돼 더욱 자체 쓰레기 처리시설의 필요성이 커지게 됐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 마을을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등 각종 에코 정책을 광범위하게 추진하는 까닭은 이런 ‘대란’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쓰레기를 최소화하고 잘 줍는 것으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어떻게든 생활 쓰레기기가 나오기 때문인데, 현재 구리시에는 토평동에 소각장이 있고 남양주시에는 이패동에 음식물 압착 분리 시설과 쓰레기 재활용 시설 그리고 별내동에 클린센터(음식물+일반), 별내면에 잔재매립장(에코랜드)이 있다.

※ 2,000년 구리시·남양주시가 맺은 협약에 의해 구리소각장에서 남양주 일반 쓰레기와 구리 일반 쓰레기를 반반 비율로 소각하고 있음. 양 시의 소각하고 남은 재는 별내면 잔재매립장에 매립하고 있음.

문제는 처리 용량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기실 두 지자체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작에 방책을 세웠었다. 그러나 2012년 구리소각장에 소각장을 1기 증설하고, 음식물 처리시설을 짓기로 한 것은 주민 반대 등 여러가지 이유로 지금까지 지지부진했다.

그러던 것이 숨통이 트였다.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지난달 31일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 변경 협약을 체결한 것. 이는 2012년 시도했다가 중단된 사업을 다시 하기로 한 협약이다.

이 시설들이 추가 마련되면 당분간 문제는 상당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그러나 문제가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구리시와 남양주시가 계속 커지는 도시들이기 때문에 자체 처리시설 마련에 계속 관심을 둬야 한다.

아무튼 이번 재협약으로 일단 급한 불은 끄게 됐다. 구리소각장(구리시자원회수시설)에 수년 내 하루 처리 82t의 소각장 1기가 추가 건립되고, 소각장 옆에 하루 처리 83t의 음식물 처리시설이 들어선다.

양 시는 이제 제3자 제안공고를 할 예정이다. 이후 실시설계에 들어가 2024년 말 소각장 건립을 완료하고, 소각장 건립보다 1년 늦은 2025년 12월경에 음식물 처리시설을 완공할 예정이다.

한편 구리시에서는 하루 45t의 음식물 쓰레기와 95t의 일반 쓰레기, 15t의 재활용 쓰레기가 나오고 있다. 음식물은 구리소각장에 처리시설이 마련돼 있지 않아 전량 강동구에서 처리하고 있고, 일반 쓰레기는 50~60t을 구리소각장에서 처리하고 나머지는 수도권매립지에 버리고 있다.

남양주시는 도시 규모가 커서 이보다 많은 쓰레기가 나오고 있는데 하루 140t의 음식물 쓰레기와 137t의 일반 쓰레기, 122t의 재활용 쓰레기가 나오고 있다. 이 중에서 음식물은 이패동 적환장에서 중간처리를 하고, 일반 쓰레기는 구리소각장에서 56t, 별내동 클린센터에서 40t, 민간 위탁으로 40t, 나머지는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하고 있다.

새로 소각로가 증설되면 여기서 남양주시 일반 쓰레기 41t이 처리되며 구리시 일반 쓰레기 41t이 처리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신설 음식물 처리시설에서 구리시 58t과 남양주시 25t이 처리된다.

소각장과 음식물 처리시설을 짓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추가 소각로의 경우 38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보이며, 음식물 처리시설의 경우 48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음식물 처리시설은 민간토지도 구입해야 해서 예산이 더 들어간다.

분담비율은 소각장은 5대 5고, 음식물 처리시설은 남양주 3, 구리 7이다. 음식물 처리시설은 토지도 매입해야 하는데 구리 6, 남양주 4 분담비율이다. 남양주시의 경우 이전에 사업이 추진되면서 기 납입한 120억원이 있어 추가 예산이 들지 않는다.

남양주시 관계자는 이번 재추진에 상당한 의미를 뒀다. “안정적인 도시운영을 위한 폐기물처리 기반을 구축한 것”이라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이번 광역협약으로 향후 25년간 안정적인 폐기물처리 시스템 구축의 발판을 마련했다. 환경부 국비를 20% 더 받아 안정적으로 시 재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향후 주민편익시설인 축구장과 전천후 풋살장을 추가 설치해 구리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여가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