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국내경제전망(단위: 전년동기비(%), 억 달러(국제수지부문))(표 제공=한국경제연구원)
2023년 국내경제전망(단위: 전년동기비(%), 억 달러(국제수지부문))(표 제공=한국경제연구원)

한경연, 올 경제성장률 1.3% 전망
민간소비 2.1%, 설비 –2.3%, 건설 -0.7%, 수출 0.1% 전망
경제위기(금융위기, 코로나19) 기간 外 사실상 최저치 성장률

내수·수출 동반 부진으로 연내 경기회복이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3/4분기)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가 연내에 경기 부진 흐름을 반전시키기는 힘들 것으로 분석하며 올해 경제성장률을 1.3%로 전망했다. 이는 금융위기(2009~2011), 코로나19(2020~2021)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실적이다.

대내적으로는 장기간 점진적으로 진행돼 온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성장 모멘텀 약화, 대외적으로는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 지연이 가시화되면서 연말까지 경기 반등을 이뤄내기는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민간소비 2.1%, 설비투자 -2.3%, 건설투자 –0.7%로 내수 부진 심화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에 그치며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실적부진으로 인한 명목임금상승률 정체, 고물가 등으로 인한 실질구매력 약화로 소비여건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하방압력이 강화되고 있다. 금리급등에 따라 가중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등 구조적 원인 역시 민간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이미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해 온 설비투자는 내수침체와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라 반도체 등 IT부문 외 투자가 모두 급감하면서 -2.3%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투자는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건축부문의 공사차질과 부동산PF 부실 등 불안요인이 해소되지 못하며 -0.7%의 감소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출 0.1% 성장에 그치고, 수입의 큰 폭 감소로 전형적 불황형 흑자 전망
수출 역시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까지 일부 지연되고 있어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대내 경기부진에 따른 수입감소폭이 수출감소폭을 뛰어 넘으면서 경상수지 흑자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상승률은 안정화, 물가하락폭은 감소
수요압력 저하 및 원자재가격 하락에 기인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5.1%)보다 1.8%p 낮아진 3.3%로 전망됐다. 다만 폭염과 장마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최근 급등한 국제유가로 인해 소비자물가의 하락세는 다소 완만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요국 경제실적에 따라 성장률 추가 하락 가능성 상존
경제위기 시마다 경기반등의 효자역할을 해주었던 수출도 중국 및 주요국의 경기반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연내에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올해 안에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다. 중국의 경기반등 무산으로 인한 영향이 미국 등 주요 교역국으로 파급된다면 성장률은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금융시장 리스크 확산방지를 위한 세심한 모니터링과 대책 필요
이 부연구위원은 “경기불황과 고금리 상황 지속에 따라 연체율 급등 및 금융기관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 불안감을 더해가고 있는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예기치 못한 금융시장의 충격이 경제시스템 전체의 위기로 확대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리스크 대비도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