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한 해 총 근로소득이 강원도의 9.5배에 달하는 등 광역단체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인구 차에 의한 격차일 수 있다. 그런데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보니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려서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간과할 수 없다.

김회재(민. 여수을)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신고현황’에 따르면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서울에서 발생한 2020년 총 근로소득(총 급여)은 169조5,768억원으로, 강원 17조8,269억보다 무려 151조7,499억이나 많았다.

강원도는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 세종(7조240억원), 제주(7조4,887억원)를 제외하면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근로소득이 가장 많은 광역단체는 경기도로 2020년 총 근로소득이 214조1,910억원이었다. 경기의 뒤를 서울(169조5,768억원), 경남(41조6,589억원), 부산(41조5,308억원), 인천(39조6,838억원) 등이 따랐다.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세종(45.2백만)이 가장 많았다. 서울(43.8백만)은 2위를 차지했고, 울산(43.4백만)은 근소한 차로 3위를 기록했다. 세종, 서울, 울산을 빼고는 모두 4천 아래였다.

수도권의 2020년 총 근로소득은 423조4,516억원으로 전체의 56.7%를 차지했다. 전년 수도권 근로소득 집중도가 56.4%인 것과 비교하면 소폭 더 심화됐다.

김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반대로 수도권은 전쟁 같은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이대로 가면 서울도 맨 마지막에 망할 것이라는 비판조차 나온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김 의원이 제시한 해법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시스템인데 “국토 불균형의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지역본사제를 추진해야 한다. 지역 중소기업들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0년 귀속 근로소득(억원)(표 제공=김회재 의원실)
2020년 귀속 근로소득(억원)(표 제공=김회재 의원실)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